V20xYVJWWnNjRmxWZWtGNFQxaEJORlF5TlRSYWJHZDRUMVZHVUdKdWFFSmFhMUozVVZaU1dFOVhkR0ZYU0doQ1dtdG9ZV05HY0ZsYVJHaFFZbTVvY0ZscVNrZGxWbkJHWWtWV2JWSlZTVFJhUkU1clRUQXhWVlJVUm0xU1NFRTBXVzAxVjJSSFdrWlJhbWhQVWtka05GUXdhRE5PYlZwSlVXMW9ZVTFzV2tWWmFrcFRZa2RhUmxGcWFFNVdSVEI0V210U2QwOUJQVDA9
        • “영광이었지만 참 부끄럽기도 했습니다”
        • eyJjdCI6IkExVDhQZmc3aElzb0JVXC9UUFE1dlpIdEdMd2lESHZGazJtbkdSM2hvWGgwPSIsIml2IjoiYzJlZDJhODA5ZWZlMzgzYWQyZDY0MWNjNzVjMTliOWMiLCJzIjoiMTJlMjVhYTI2NjUwOTdkNyJ9| 등록일 : 2024.11.17 |조회수 : 130 |추천 : 0
        • “영광이었지만 참 부끄럽기도 했습니다”

          지난주 화요일 한교총 주관으로 ‘한국기독교 140주년 기 념 한국교회 비전대회’가 열렸습니다. 그리고 2부에 ‘한국교회 대상’ 시상식이 있었습니다. 여러 명이 수상을 했지만 그 중에 저도 ‘목회와 연합’ 부문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시상식이 끝나고 교회로 돌아오는데 교계 어느 기자로부터 전화 가 왔습니다. “목사님, 상 받는 모습이 너무 불편해 보이더라고요. 무슨 일이 있으세요?” 제가 바로 대답했죠. “그렇습니 다. 저는 정말 불편한 자리였습니다. 제가 한국교회 연합에 관해 무슨 한 일이 있어야지요. 제가 지금까지 여러 상을 받았지만, 지금처럼 어색한 적은 없었습니다. 물론 앞으로 목 회와 한국교회 연합을 위해서 잘하라고 격려해서 주신 상이겠지만요.” 저는 수상 통보를 받고 한교총 사무총장에게 “제 가 그 상을 안 받을 수 없느냐”고 두 번이나 전화를 했습니다. 그리고 어렵게 장종현 대표회장님께도 전화를 드렸습니 다. “존경하는 대표회장님, 제가 꼭 이 상을 받아야 되겠습니 까? 마음은 고맙지만 너무 부담이 됩니다. 제가 한 일이 있어야죠. 아무것도 한 일이 없는데요.”

          그러자 어르신이 말씀하시기를, “소 목사처럼 수고한 사람이 어디 있어요? 내가 그 수고를 다 알고 있는데... 어색해하지 말고 그냥 오세요”라고 하시는 것입니다. 저는 정말 코로나 이전부터도 한국교회 연 합을 줄기차게 외쳐왔습니다. 물론 연합기관은 하나가 안 됐지만, 정서적으로 하나 될 때가 많았습니다. 포괄적 차별금 지법을 비롯하여 반기독교 악법을 막고 한국교회가 하나 되게 하는데 정말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불가시 적 성과는 많이 냈지만 가시적 성과는 아직 거두지를 못했습니다. 그래서 제 자신도 회의를 느꼈던 것입니다. “나는 실패 한 것이 아닌가. 구호만 외치고 아무것도 이루지 못한 것이 아닌가...” 올해도 연합기관이 하나 되길 기대했지만 기대와 는 달리, 하나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제가 과거에 연합 사역을 열심히 한 걸 지금 대표회장과 상임회장들이 기억해 주고 알아주셔서 감사했습니다. 그런데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세월은 여전히 제 편이라는 마음이 들어왔습니다. 저에게는 아직도 많은 시간이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저는 저대로의 길을 갈 것입니다. 장소가 다르고 출발점이 달라도 결 국은 건강한 교회와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목표가 똑같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지난주 밤 예배 때에는 이종민 목사의 주선으로 조영길 변호사님의 특강을 듣게 됐습니다. 그 보고를 받고 밤예배에 이언주 국회의원을 좀 오시게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국회의원이 낮예배는 몰라도 밤예 배에 나오는 건 흔치 않거든요. 그래도 이언주 의원님께 “교회에 오셔서 조영길 변호사님의 강의를 듣고 소감이나 소신을 이야기하든지 아니면 3자 토론을 하면 좋겠다”고 전화를 드렸더니 기꺼이 와주신 것입니다. 그래서 성도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고 언론에 아주 뜨거운 관심을 받았습니다. 게다가 제 아들이 저를 좀처럼 칭찬하지 않는데 이번에 너무 잘 했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저는 그 동영상을 보면서 좀 불편하게 느껴졌습니다. 언론에서는 집중보도를 했는데 도 제가 보기에는 불편하더라고요. 사실은 그 순간이 영광스 럽고, 한국교회의 공익을 위한 자리였는데 녹화영상을 다시 보니까 제가 아는 것이 많아서 그런지 좀 잘난 척을 하는 느 낌이 들었습니다. 두 분이 이야기를 나누실 수 있도록 놔둘 일이지 제가 너무 나섰지 않느냐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 실 리허설도 없었고, 편집을 잘못하면 또 이상하게 될까봐 현장에서 주고받은 내용을 그대로 유튜브에 올린 것이니까 그런 느낌이 든거죠. 그래서 조영길 변호사님과 이언주 의원 님께 감사하는 마음도 있고 죄송한 마음도 생겼습니다. 어쨌 든 그 시간이 큰 물길을 바꾼 위대한 자리였지만, 제 마음속 에는 어색함과 불편함이 계속 남아있습니다. 이것이 저에게 하나님의 종이면서도 나약한 인간의 모습이 공존하고 있다 는 증거가 아닐까요
      • SNS내보내기
        이 게시물을..
        추천
        인쇄
        URL
        error 신고
        cancel

        게시글 신고

        작성자 신고

      댓글 0 | 이전글 | 다음글

      목록

    • 글 작성시 등록하신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 확인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