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20xYVJWWnNjRmxWZWtGNFQxaEJORlF5TlRSYWJHZDRUMVZHVUdKdWFFSmFhMUozVVZkT1NGSnROV0ZYU0doQ1dtdFNSbVF5V2tWalJHaGFZbFJzYjFreU1WTlRiRXBKWlVWR2JWTkhVWHBhU0hCR1pXczFXV1I2V20xVFJVcHZWMnBLVjFKSFNYbFZiWGh0VWxWSk5GUldVazVOVjFwRlkwUm5QUT09
      ▲ 접기
        • “평화에 이르는 새 길”
        • eyJjdCI6ImlcL09zN21YTzRPSlYwbzgzaGpQZXREQjE3TldEZkRFZWVKdTlrOVFYZXhVPSIsIml2IjoiMTNmMGQ0NThmY2RlOTFmOWM2MDMxYTc5NDQ5MzliM2UiLCJzIjoiYTc2ZjAyNWQ4Y2UyZTI3OCJ9| 등록일 : 2025.06.22 |조회수 : 134 |추천 : 0
        • “평화에 이르는 새 길”

          명지대학교 정성철 교수께서 쓰신 ‘국가는 왜 싸우는가?’라는 책이 있습니다. 거기 보면 한반도 평화로 가는 길에 대해서 로버트 저비스의 이론을 소개하고 있습니다.(국가는 왜 싸우는가, 사회평론 아카데미) 로버트 저비스에 의하면 나선형 모델(Spiral 모델)과 억제 모델(Deterrence 모델)이 있습니다. 나선형 모델은 안보 딜레마에 기초하여 충돌에 이르는 길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두 국가가 모두 자국의 안보를 위해 방어적 행동을 취하지만 이는 상대의 안보 불안을 야기시킨다고 합 니다. 결국 두 국가는 위기의 고조를 막지 못한 채 충돌에 이른다는 것이죠. 이러한 모델은 유화와 관용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다는 것입니다. 예컨대 남북한 모두 평화를 희망하더라도 오해와 불신으로 상대의 방어적 행위를 공격적으로 바라보게 될 수 있다는 것이죠. 그러한 경우 남북한은 번갈아 가며 그러한 오해에 따른 대응을 취하면서 소용돌이에 휘말린 채 충돌로 치닫게 되고 맙니다.

          바로 그러한 비극은 상호 인정을 바탕으로 신뢰를 쌓아갈 때 피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억제 모델의 관점에서 평화는 상대의 공격에 맞서 싸울 결연한 의지를 보일 때 가능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상대의 도발에 미온적으로 대처한다면 결국 양측은 대규모 분쟁에 휩싸이고 맙니다. 상대방이 군사적 수단 자체를 고려하지 못하도록 적극적 으로 압박하고 봉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이 모델에  따르면 평화는 역설적이게도 싸울 준비를 마치고 결의에 찬 국가들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죠. 상대를 공격하여 압도할 수 있다는 믿음이 없어야 한다고 합니다. 과거 6.25 전 쟁의 발발도 김일성이 승리할 수 있다는 오판에 따른 결과였 다고 합니다. 그래서 한국과 미국이 적극적으로 북한의 공격 이 엄청난 피해를 불러올 것이라는 메시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하였을 때 한반도의 평화가 보장되어왔다는 것이죠. 이러 한 두 가지의 주장은 모두 한반도 평화를 지향해 왔습니다. 하 지만 상반된 가정에서 기초한 두 입장의 정책 제안은 상이하다고 합니다. 나선형 모델에서 국가는 현상 유지를 희망하는 불안한 행위자이지만, 억제 모델에서 상대국은 불만족으로 현상 변경을 노리는 도전적 행위자입니다. 그래서 정성철 교수에 의하면 우리는 북한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북한은 오랜 경제 실패와 외교 고립으로 생존을 갈구 하는 국가인가? 이라크 전쟁과 후세인 처형을 바라보며 두려 움에 사로잡힌 실패 국가로 바라볼 것인가? 아니면 반대로 핵과 미사일 개발을 지속하면서 체제 안정이 위협받을 경우 모험적 도발도 감행할 준비가 된 도전 국가인가? 그것도 아니면 주체사상에 기초하여 외부 세력의 영향을 차단하며 정권 안보 에 사활을 건 공격적 행위자로 볼 것인가?”

          저자에 의하면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우리의 대북 통일정책은 달라질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북한은 안보 불안에 시달리는 국가인가? 아니면 정권 안보를 추구하는 불만족 국가인가?” 이에 대한 우 리 안에서 열린 토론이 합의에 이를 때 저자는 장기적 관점에 서 지속 가능한 대북 통일 정책이 가능하다고 예측하고 있습 니다. 다소 전문가적이고 어려운 글이긴 하지만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대한민국의 자유와 번영이 얼마나 아슬아슬했던 가를 느낄 수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 그리고 6.25 참전용사들의 헌신과 희생이 아니었으면 우리는 지금의 번영과 자유와 민주주의를 누릴 수 없을 것입니다. 다 시 생각해 봐도 우리가 누리는 이 자유와 평화는 절대로 공짜로 얻은 것이 아닙니다. 6.25 참전용사들의 수고와 지금도 우리나라를 지키고 있는 안보의 힘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그런데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 국민 모두가 서로 단합하고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그것이 평화에 이르는 새길입니다. 그러한 연장선상에서 우리 교회는 6.25 참전용사 초청행사를 19년째 맞이하고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행사들이 거룩한 낙수 효과를 이루며 나비효과가 이루어지기를 기도합니다
      • SNS내보내기
        이 게시물을..
        추천
        인쇄
        URL
        error 신고
        cancel

        게시글 신고

        작성자 신고

      댓글 0 |
    • 글 작성시 등록하신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 확인취소
    • 새글 0/842

      검색

      “빗소리처럼, 풀벌레 소리처럼”

      작성자 : eyJjdCI6IjBpd2p1ZFhEbEs4S2NYTjB2MHlRUWdROHBoNE5tREFUeWowTjc0bzlNcEU9IiwiaXYiOiI5NWJiNjYzMzI3ZmMwZGEwMzAzNGU4Mzc0MWRiODkyYSIsInMiOiJkZGE5NGI2MWI2M2RjYWM1In0= | 조회수 : 389 | 등록일 : 2022.09.08

      “빗소리처럼, 풀벌레 소리처럼” 지난주 화요일 저녁에 몸은 피곤한데도 비를 맞고 산행을 하였습니다. 왜냐면, 우리 교단의 여러 산적한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마음이 너무 무거워서 정서를 환기하려고 갔습니다. 저는 작년에 떠밀리다시피 총회 선관위원장을 맡았습니다. 그런데 우리 교단 목사님들과 장로님들이라면 다 알 정도로 목사 부총회장 후보 문제가 뜨거운 이슈가 되었습니다. 이미 한 분 목사님은 부총회..

      “매미처럼 처절하게, 풀벌레처럼 고요하게”

      작성자 : eyJjdCI6InBoeEVhVnZERG5zOXVOTG9NZ3liU2ZlY2FGQktrc29DV29iQmcySURjVE09IiwiaXYiOiI4ZDlkNjUxN2E5YTI0OTgyNTk0NDNkOTVmYjQ5Nzg2ZiIsInMiOiJiM2RjMWQ2N2VkZjk4NzU5In0= | 조회수 : 391 | 등록일 : 2022.08.28

      “매미처럼 처절하게, 풀벌레처럼 고요하게”  화요일 저녁 모처럼 큰 마음을 먹고 산행을 하기로 하였습니다. 선광현 목사님 이 조금 늦게 도착한다고 해서 혼자 먼저 걸어갔습니다. 그러던 중 교회로 오는 성도들을 만났습니다. 생각해 보니까 저녁 8시 기도회에 참석하기 위해 오는 분들 이었습니다. 성도들과 마주치면서 인사를 하였습니다. “아, 기도하러 오시네요. 저는 오랜만에 산행을 하러 갑니다.” 그런데 순간 ..

      “어느 가시나무새의 목사 이야기”

      작성자 : eyJjdCI6IkVVd3g1MHFlZ0pCdkdTMlRjTWJiV2hURklJdytESDZWQjlcL096TWh5d3FnPSIsIml2IjoiZDgzMDFkNjBjZWZiOTY5ZjMwMzI3MjRhZTAwNGM3YzgiLCJzIjoiYmM5YWRlODkxMzFmNWJjMyJ9 | 조회수 : 405 | 등록일 : 2022.08.14

      “어느 가시나무새의 목사 이야기”  지난 월요일 저녁에 내린 비는 비가 아니라 하늘로부터 떨어지는 물폭탄이 었습니다. 저는 태어나서 이런 물폭탄 을 처음 봤습니다. 다음날 수련회가 있 어서 일찌감치 자려고 수면제를 복용했 습니다. 그런데 잠이 안 와 이상하다 싶 어서 시설관리팀장인 김요한 안수집사 에게 전화를 걸어 상황을 물어보았습니 다. 그랬더니 도로에서 흘러내린 물이 교회 주차장에 흘러들어 와서 한강..

      “포스트 엔데믹, 교회 세움 프로세스”

      작성자 : eyJjdCI6IjV3bksrRUVnelQwWWNmdjVwYm5WS2YwUmRZQW1xZHZTMWJxaExiaGlRWWs9IiwiaXYiOiI0MDk2NWQ3Zjc2NmMyYTk2NDY0ZWY0ZTRmYzEwYWJmNiIsInMiOiIwM2YzYWI5NWM1ZjkwNzI0In0= | 조회수 : 430 | 등록일 : 2022.08.21

      “포스트 엔데믹, 교회 세움 프로세스”    LA의 한 목사님으로부터 광복 77주년 기념 감사예배 설교를 해줄 수 없느냐고 연락이 왔습니다. 그리고 다음 날 목회자 세미나 좀 해줬으면 좋겠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조금 더 생각해 보자고 답변을 하였습니다. 생각해 보니 주일예배를 빠질 일도 없고 해서 가기로 했습니다. 첫날 예상만큼 많은 분들이 오지는 않았습니다. 많이 모일 수 없는 이유를 듣고 보니까 이해가 됐..

      “매미목사가 들려주는 숲의 이야기”

      작성자 : eyJjdCI6ImZzbFR5VVBtZ3dYWVdXXC92TEtkZEtsblM2N3pjWlJUSjR6R1RpZ0VQZGtFPSIsIml2IjoiYWFiNzI3MGEzYWU0OTBhMjQ3MDM4ZWNiNThkNDk5ODYiLCJzIjoiNjQzNjJhYmFlYjY0NDViYSJ9 | 조회수 : 433 | 등록일 : 2022.08.05

      “매미목사가 들려주는 숲의 이야기”   우리 교회 장년여름수련회는 30년이 넘는 전통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해마다 여름이 되면 말씀을 준비하는 것이 얼마나 부담이 되는지 모릅니다. 오죽하면 장년여름수련회와 신년축복성회만 없어도 목회를 좀 쉽게 감당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할 정도이겠습니까. 그런데 코로나 때문에 교회에서 수련회를 하다가 3년 만에 오크밸리 리조트에서 하는데 새로운 설교를 창작한다는 게 ..

      “꽃잎의 영혼들이여, 사무치는 이름들이여”

      작성자 : eyJjdCI6IklockZVYjFGRmpSUkIxSVNnaWM0WU1vcHpKSHdZcm5IYTVXUTVhaW5KSVE9IiwiaXYiOiIwMDM3ZjJkMTNkOWQyZmI4MTY0OGEyOWI4ODE1NmM4NSIsInMiOiIxZjQ4MWQ2MzhmYzM0MzQzIn0= | 조회수 : 423 | 등록일 : 2022.07.30

      “꽃잎의 영혼들이여, 사무치는 이름들이여”   미국 워싱턴에서 있는 한국전 참전용사 초청행사를 위하여 우리 성도들은 아시아나 항공으로 가기로 했고, 저는 대한항공으로 가기로 했습니다. 왜냐하면 아시아나 항공은 워싱턴에 운항하지 않고, 대한항공만 워싱턴으로 직항을 하기 때문에 대한항공을 타기로 한 것입니다. 그런데 나중에 아는 사실이었는데, 코로나 이후로 월요일에는 대한항공이 워싱턴으로 운항을 하지 ..

      “낮은 모습으로 하늘을 우러르겠습니다.”

      작성자 : eyJjdCI6InlESkljeitzMGhSNG96SVNiZGhDVXVmZmtjd1FcL00yTzdwMGtZXC9uZDVzVT0iLCJpdiI6Ijc3Mzg1ZGM1OGNjYzIzMGYwNzgxMDUzZTJkZTZlMTFhIiwicyI6IjAyNmM4Mjk2ODg0MjAxNDcifQ== | 조회수 : 410 | 등록일 : 2022.07.23

      “낮은 모습으로 하늘을 우러르겠습니다.”   저는 우리 교회 건물을 준공한 이후부터 교회 안에 있는 서재 안 방에서 거해 왔습니다. 저희 집이 이사한 지도 1년이 다 되어 가지만 아직 집에 가서 하룻밤을 자본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제 방은 동굴과 같습니다. 창문이 두 개가 있는데 둘 다 이중창으로 되어 있거든요. 그래서 어지간한 천둥이 쳐도 천둥소리가 안 들릴 정도입니다. 그렇다고 화장실 쪽에 있는 창문을 ..

      "그때도, 지금도 목양일념 뿐입니다.”

      작성자 : eyJjdCI6ImJMXC9lbU9hKzVCcGtGeVBNTzlzRTlhMVwvdkFkODhZdStySlJIRHZ4WGJZVT0iLCJpdiI6IjA4NTE2YjdiMTY3MGUyN2I0YzQ4Nzc2YTI0ZjYxNzlkIiwicyI6ImQ3YTVkN2YzOTY0YzUxN2UifQ== | 조회수 : 441 | 등록일 : 2022.07.16

      "그때도, 지금도 목양일념 뿐입니다.” 지난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강원도 델피노리조 트에서 전반기교역자정책수련회를 하였습니다. 첫날은 제가 강의를 했는데, 핵심 포인트는 “어떻게 하면 우리가 팬데믹의 안개를 뚫고 엔데믹을 딛고 서서 새로운 영토를 확장시켜나갈 것인가” 하는 것이 었습니다. 한국교회는 팬데믹을 맞아 생존형 교회가 되었고 엔데믹 단계에서는 생계형 교회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생계형 교회로만 머물..

      “팬데믹을 뚫고 새로운 영토를 향하여”

      작성자 : eyJjdCI6InJjTkZ2NGRTUHVHczdKS3VMSTRtdmptM2JoOTZzdGhiOER6eklKdHhHak09IiwiaXYiOiJhMWFhODZhYWE5ZmE5OTQ5MDBiZDJiODJiNmE3NjVjOSIsInMiOiI5NzY0OTQ4ZjFkMTU0ODM2In0= | 조회수 : 411 | 등록일 : 2022.07.09

      “팬데믹을 뚫고 새로운 영토를 향하여”   2년 반 전 즈음,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었습니다. 팬데믹으로 인해 비종교인이 증가하였고 탈종교화 현상이 많아졌습니다. 특별히 기독교인의 감소가 더 많아졌고 교회는 심각한 이미지 타격까지 입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사실상 팬데믹은 지나갔고 에피데믹 단계(비교적 넓은 지역의 많은 사람들에게 전염을 증가시키는 유행병)를 거쳐 지금은 엔데믹 단계(한정된 지역에서 ..

      “싱그러운 7월을 위하여”

      작성자 : eyJjdCI6IkFVTW1pTHBybzJ3cVpNc2U4TVJycXRzNUl2K21RaFhFTlEwSG5VcisyTG89IiwiaXYiOiIxZTE5ZjRkMzZlZGRiNDdkN2NmODQ1ZjMyNGEyMjM1MyIsInMiOiI2ZmRiNWQzZmMwODcxZGI2In0= | 조회수 : 427 | 등록일 : 2022.07.02

      “싱그러운 7월을 위하여”  “얼마나 아팠을까. 얼마나 그리웠을까. 얼마나 가슴이 저렸을까. 오랜 기간 비가 오지 않았으니 가뭄이 깊어 산행을 할 때마다 내 발자국에 흙먼지가 포삭포삭 일었지요. 가보진 않았지만 시골 논바닥은 쫙쫙 갈라지기 시작하였으니... 논밭이 갈라지는 것은 땅의 가슴이 그만큼 타고 대지의 마음이 쪼개지는 것, 거기에다 산녘의 나무들은 한숨을 짓고 아우성을 쳤어요. 그러나 지금은 온 대..

      “거장이 되기 위해서라도 달리겠습니다”

      작성자 : eyJjdCI6IkZCOG0wQlRsSEo0dmMyUTE4Rmwwak45bWowS3JGY1U0c2VJaHFTS01tVHc9IiwiaXYiOiIzMTg2YTQxY2YzMDNmNTc0YzA5ZTFjY2IyMDQxNmYyMSIsInMiOiJlNGYzMmE2MGQzMWZjZDI4In0= | 조회수 : 461 | 등록일 : 2022.06.25

      “거장이 되기 위해서라도 달리겠습니다” 저는 지난주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CBS재단이사회 수련회를 다녀왔습니다. 원래대로라면 다음 주 수요일이나 목요일에 도착해야 되는데 저는 일정을 단축해서 도착했습니다. 솔직히 저는 집회가 아닌 해외여행은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 특별히 산을 좋아하는 저는 거대하기로 유명한 로키산맥을 한번 투어해 보는 게 소원이었습니다. 그런데 밴쿠버를 몇 번이나 갔지만 집회만 하고 바로..

      “다시 하나 된 원탁의 기사들처럼”

      작성자 : eyJjdCI6InFYUmRDZUs4OG02eW5hUGJpdDIyNDJ1TGRyRVJsc0FOeXVLejk1NUY3Ums9IiwiaXYiOiI3ZjIwNGU1NTc4YmJlMjkxNDRhN2Y1OTAxNTUzYWM3MyIsInMiOiI5Mzc3MjU5ZWNkNmFiNGIzIn0= | 조회수 : 434 | 등록일 : 2022.06.18

      “다시 하나 된 원탁의 기사들처럼”  최근에 우리 교회 교무국장인 이종민 목사님이 총회 교회자립개발원 선진복지 기관 탐방을 하러 독일에 다녀왔습니다. 그런데 저를 위해 ‘원탁의 기사 조각상’을 선물로 사 온 것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원탁의 기사는 아더왕의 전설로부터 시작합니 다. 아더왕은 브리튼 섬은 물론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오크니 제도를 정복하여 제국을 건설했고 이후 노르웨이, 덴마크, 갈리아를 정복..

      “휠체어가 날개가 되다”

      작성자 : eyJjdCI6IlwvWU5nb0p3ZXEzS0QrbFVEZWlCNzZ5clwvaUZ3NzBlSEVcL1c0cHQ5aUd1UXM9IiwiaXYiOiJhMjMwY2ExNGY2YWMzMzFlOWE3MzRkZjJjZGE5ZWFlZiIsInMiOiI0MTM4OTgzMTAyOTU5MWUwIn0= | 조회수 : 404 | 등록일 : 2022.06.11

      “휠체어가 날개가 되다”  제가 지지난 주에 설교를 하러 명성 교회에 갔는데 대통령 취임식에서 지휘하셨던 차인홍 교수님께서 지휘를 하고 바이올린 연주도 하며 미니콘서트를 하는 것입니다. 차인홍 교수님은 어린 시절 소아마비를 앓으셔서 걸을 수 없고 휠체어를 타고 다녀야만 했습니다. 더구나 가난한 집안 형편으로 부모님이 도저히 키울 수 없어서 재활원에 보낼 정도로 그의 어린 시절은 불우 하였습니다. 그러..

      “연합이라는 새 역사를 쓰고 싶을 뿐입니다”

      작성자 : eyJjdCI6IkJ6WTJNWElrRHlQbmtcL3JsTXhVelF4SktaeHV6dzg3dmt3eGZmanBKTlZvPSIsIml2IjoiYWM2YzljMjZiNjUxNTE0YWE4ODM0ZjRiODlkOWE4OWYiLCJzIjoiNWUxZGZkMjNkMTk1YmRiNiJ9 | 조회수 : 430 | 등록일 : 2022.06.04

      “연합이라는 새 역사를 쓰고 싶을 뿐입니다”   그때가 몇 년도였을지, 2010년이나 2011년일 텐데요. 한국교회 선배 어른들 몇 분이 저를 찾아왔습니다. “도저히 몇몇 사람들과 함께할 수가 없다고, 한기총 말고 새로운 연합기관을 만들어야 되겠으니 좀 도와 달라”고 하시는 것입니다. 제가 그때 그분들의 손을 잡으면서 진심을 담아 눈물을 글썽이며 부탁을 드렸습니다. “제발 그렇게 하면 안 됩니다. 1년만 참으면 됩니..

      “분리불안, 언제쯤 끝날까요”

      작성자 : eyJjdCI6InlWUHFEa3JaMjNJdkw4a2VsVSs5aFluS3BWSFFkbXNwMkxUUVNFbXZMZVk9IiwiaXYiOiI3Mzg1ZGFmZmUxYjVmNjE0ODdhN2Q3MzJiNjc3Yzg4MiIsInMiOiI2NDhlZmJkMGUzOWJmN2MyIn0= | 조회수 : 413 | 등록일 : 2022.05.28

      “분리불안, 언제쯤 끝날까요”  몇 년 전부터 제주도에 크루즈 배를 타고 가보는 게 소원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옛날 신학생 시절에 제주도로 수련회를 가는데 비행기 값이 없어서 완도에서 배를 타고 갔거든요. 그때 3-4시간 정도 걸린 걸로 아는데요, 저는 어디 앉을 데도 없고 그냥 갑판에 있으면서 갔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갑판에서 보니까 방이 있더라고요. 신혼부부라든지, 아주 부티가 나는 양복쟁이들은 방에..

      first

      9

      10

      11

      12

      13

      14

      15

      16

      last